안녕하세요~~~! 제이삼사 입니다
혹시 제가 전 글에서 했던 말 기억하시나요?!
"다다익선"
이 말이 이제 조금씩 빛을 보는 것 같아요...!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도전기 - 006(상품선택)
안녕하세요 제이삼사 입니다~! 오늘부터는 상품등록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전반적인 상품 선택 및 스토어를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 겁니다! 사실 스토어를 개설하고 상품등록을 하
j-34.tistory.com
원래 제 목표는 하루에 1개 상품 등록이었는데 여차저차 하다 보니
며칠 빼먹고 오늘 드디어!!! 30개 등록을 달성했어요 ㅎㅎ
진짜 적은 돈이지만 판매가 조금씩 되고 있으니까
의욕이 마구 샘솟네요 ㅋㅋㅋㅋㅋ
역시 돈이 최고야...

하나씩 올리면서 유입을 늘리는 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상세 이미지를 어떻게 하면 전환율을 높일 수 있을까도 고민하며
점점 실력이 늘어가는 거겠죠?!
각설하고 오늘은 가격 책정에 대해서 좀 말씀드려 볼까 해요!
사실 가격 책정이 가장 애매하고 두리뭉실한 부분이에요 ㅠㅠ
저는 처음에 마진 없이 일단 판매가 되나 해보자 해서
바보처럼 도매꾹에 올라온 가격 그대로 올렸어요 ㅋㅋㅋㅋㅋㅋ
근데 그러면 적자 보시는 거 다 아시죠...?
저희가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들이 있어요!!
바로 스마트 스토어의 수수료와 부가세 및 종소세입니다!
기본적으로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의 수수료는
판매금액의 5.60% 라고 알려져 있어요
거기에 부가세는 10%
종소세는 순익이 1200만 원 이하면 6% 인걸로 알고 있어요
BUT! 전에 사업자 등록하실 때 간이사업자로 등록하셨던 거 기억하시나요?!
간이사업자는 매출신고를 한다면 부가세가 면 to the 제 랍니다!

물론 나중에 매출이 쭉쭉 올라 일반사업자로 전환되면 부가세를 내야겠죠?!
하지만 그때는 기쁜 마음으로 낼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ㅋㅋㅋ
그렇기 때문에 위의 금액들을 합산한 금액을 상품의 원가로 보시고
그 이후에 마진율을 계산하셔야 나중에 오차 없는 정산금을 받으실 수 있어요!
마진율은 개인마다 다르시겠지만 기본적으로
15 ~ 25 % 정도 사이를 잡는다고 알고 있어요
실제로 마진율을 20%로 잡고 위의 금액들을 고려해 계산을 해보면
원가가 \6,900 인 상품은 \10,700에 팔아야
20%의 마진율을 볼 수 있어요!
생각보다 차이가 꽤 크죠?!
이런 이유로 위탁이 사입이나 직접생산에 비해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 같아요 ㅠㅠ
하지만 그럼에도 팔릴 물건은 팔린다!
그러니까 여러분도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도전해보세요!
그럼 빠잉!!